본문 바로가기

예술이네

사노 요코, 간송미술관, 선우풍월-부채, 바람과 달을 함께 나누는 벗 신촌 살롱 공부는 > 그림책과 일본어 원본을 가지고 견줘봤다. 먼저 김환희 교수님이 일본책을 넘기는 방향이 다른데 번역본에서 그대로 따라해서 원본을 살리지 못했다는 지적과 함께 융이 말한 4극성이 다 존재하는 점에 대해 말씀하셨다. 일본어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쓰기 때문에 그림의 여백도 이미지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가로쓰기 한글로는 그 맛을 살리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본어본 색감이 훨씬 진하고 강렬하다. 사노 요코의 가정사가 작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야기도 나눴다. 여자 아이를 통해 아픔과 엄마의 존재를 깨닫게 된 뒤에 옷을 입고 나오는 장면부터 사회 관계를 의식하게 되는 면도 지적하였다. 모인 사람들이 모두 자기 의견을 내었다. 엄마가 아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아픈 사람인 것이 아니냐와 자.. 더보기
우금치 WA 읍내아트 페스티벌 워낙 목요일은 동화지기 한솥밥 공부하는 날이다. 그런데 25년 동안 해온 공부를 이 날은 공연 보는 것으로 대신했다. 성심당 프라잉팬에서 맛난 음식을 시켜서 아주 맛나게 먹었다. 더구나 어린이도서연구회 대전지회 강모 회원이 보낸 정성과 응원을 보답하기 위해 거사(?)를 거행했다. 너무 행복하고 재미있게 먹고 놀았다.  올해 2회라는데 사회를 본 분이 아주 유려했다. 주제는 국악의 다양화와 세계화라는 주제에 합당했다. 처음 공연은 재즈화를 위해 애쓰는 '차잔밴드', 그 다음은 명상과 동해 별신굿이 섞인 '카마' 열렬한 관객 호응으로 30분 늦어짐, 그 다음은 소리의 현대화를 ADHD 내용을 소재로 한 소리꾼 '심소라', 마지막 공연은 가장 난해한 세계화를 꿈꾸는 '카마' 가사 전달이 잘 되지 않아서 마치 .. 더보기
괘불 더보기
미키 17 밤새 비오다 눈이새벽에 쏟아져 온세상이 하얗다. 바람도 너무 불고 천둥과 번개까지 번쩍였다 시냇가 냇물이 여름 홍수처럼 소리내며 흘렀다. 남편과 봤다. 봉준호식 비판, 휴머니즘을 보여준다 원주민과 이주민 상호 소통과 평화복제인간현실 정치 풍자 사람의 가치, 죽음이 주는 공포와 두려움, 주변인들의 호기심 사채업자의 잔인함현실 도피 행성 행도피가 답이 아니다. 부딪쳐야 하고 스스로 극복 해야 된다.흑인 마샤가 인간적이나 완벽한 자격을 가진 요원으로 등장 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다만 2054 년인데 사용하는 의복이나 장비들이 행성계가 아니라 지금과 별로 달라 보이지 않는 모습이 옥에 티다https://youtu.be/MFXWhpcuIg4?si=rERAuo_0YYqj8n6W 더보기
꼭두 ‘메멘토 모리’를 떠올리게 하는 꼭두 전시, 3월 3일 종료꼭두는 망자의 저승길을 함께하는 존재로, 성경의 천사와 같은 역할을 해요. “죽음을 기억하라”는 뜻의 라틴어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를 떠올리게 하죠.전시는 한평생 꼭두를 수집해 온 김옥랑 꼭두박물관장이기증한 꼭두 1,100여 점 중 250여 점의 자료를 선보여요. ✨꼭두를 모티브로 한 공예 작가들의 작품까지 빠짐없이 만나보세요!📷 1. 흙꼭두(김운희 작)📷 2. 언년이와 영수를 탄 남자(이현경 작)📷 3. 선비와 배웅하는 여인(류천욱·강현경 작)📷 4. 꼭두 오브제(양혜정 작)📷 5. 영수를 탄 선비(이준성 작)📷 6. 시간을 되돌리고 싶은 남자(이준성 작)📷 7. 용을 탄 소녀(이우진 작)📷 8. 디제이비·써니·고저.. 더보기
비엔나 1900- 구수타프 클림트부터 에곤 실레 까지 더보기
빈센트 반 고호 전시회 12월 4일 보려했던 전시회였다. 비상계엄으로 열하루를 불안과 긴장 속에서 지냈다. 미리 표를 구해서 갔더니 전화번호 입력하고 대기하란다. 표를 사려는 줄은 성심당 줄 두 배 정도로 사람이 너무 많아서 숨이 막혔다. 카톡으로 알려줄테니 대기하라고 해서 상점에 들러 색싸아펜, 달력, 쟁반을 샀다. 그림 한 점 사고 싶었는데 너무 비쌌다. 사진임에도 말이다. 입장줄도 길었다. 자유 관람이라고 들어가니 사람이 너무 많아서 제대로 볼 수 없었다. 습작, 스케치가 1/3 을 차지 했다. 그 중 씨뿌리는 사람과 석판화로 만난 ‘감자를 먹는 사람들‘이 가장 인상깊어서 되돌아 가서 다시 보았다. 작품 하나 그리려면 스케치를 얼마나 해야 하는지. 정물화에서는 화사한 장미꽃이 화폭을 가득 채운 그림이 인상깊었다. 평생 저.. 더보기
영화 하얼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