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생각해봅시다

김누리 교수 KBS ‘샘과 함께’ 강의 오늘 KBS1 ‘이슈 픽 쌤과 함께' 김누리 교수의 강연 압권이다. 이렇게 알아듣기 쉽게 불평등/자본주의체제 극복 선동하기 쉽지 않다. 강력 추천한다. 다시보기로 수백 번 멈춤/계속하면서 요약했다. 자본주의가 오늘날 지구를 지배하는 강력한 힘이다. 자본주의의 첫 번째 속성은 강력하지만 위험하다. 인간을 잡아먹는다. 두 번째 속성은 멈출 수 없다. 무한한 생산력을 통제할 수 없다. 생산은 자연에 대한 가공·변형·파괴를 전제로 한다. 끝없이 자연을 파괴하는 체제다. 한국사회는 자본주의 늪에 빠져있다. 대전환이 필요하다. 역사상 최악의 불평등사회다.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 세계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놀란다. 잘사는 나라가 됐다. 하지만 우리가 느끼는 현실은 상당히 다르다. OECD 국가 중.. 더보기
대전스쿨미투 공대위 기자회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98988 "겨우 5개교? 대전교육청은 성폭력 전수조사 실시하라" 스쿨미투공대위 기자회견 통해 촉구... "1인 시위 624일째, 그런데도 교육감은 묵묵부답" www.ohmynews.com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52518 대전스쿨미투, 왜 우리는 5개월째 싸우고 있는가 [연속기고3] 이병구(양심과인권-나무 사무처장&대전청소년인권네트워크 집행원장) www.ohmynews.com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61381 스쿨미투 대전대책위, 학교 성폭력 전수조사 요구.. 더보기
정성우,배선영,장원석,김태윤 (지은이)렛츠북2021-11-02 ^^제1장 독서와 함께하는 교육 12^^ 독서활동1 도서 소개제 14 독서활동2 배움 나눔제 36 독서활동3 도서 제작제 61 [첫 번째 학생자치 이야기] 수업이 자치다 72 ^^제2장 대화로 살찌우는 지혜 76^^ 대화 활동1 팀장 토론제 78 대화 활동2 질문 토의제 97 대화 활동3 지혜 나눔제 120 [두 번째 학생자치 이야기] 학급자치 조직 구성하기 131 ^^제3장 연설로 성장하는 감성 136^^ 연설 활동1 자기소개제 138 연설 활동2 구술 발표제 152 연설 활동3 달인 연설제 165 [세 번째 학생자치 이야기] 성장하는 학습자 주도성 181 ^^제4장 연극으로 전하는 마음 184^^ 연극 활동1 단짝 구연제 186 연극 활동2 인물탐구제 201 연극 활동3 창작연극제 207 [네 번째 .. 더보기
2021년 대학입시수학능력시험날 샘머리초에서 2학년을 맡았던 아이들이 올해 시험을 본다. 참 얄궂다. 코로나로 인해 2년이 이 아이들은 제대로 학교를 가지 못한 채 학원 다닌 실력으로 시험을 본다. 돈이 있어서 학원으로 뒷받침하고 그룹과외로 보충을 시켜주며 개인교습까지 붙이고 한 아이들과 이 중 어느 것 하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시험을 치루는 아이들이 공정한 것인가. 돈 안드는 인강이라고 하지만 책자는 사야하지 않는가. 가난하면 공부할 시간에 알바를 해서 용돈을 벌어야 하는 아이들 입장은 더 더욱 막막하다. 가장 어려운 아이들의 교육권 침해 부분에 대해 교육부도 침묵하고 있고, 교육청은 말해 무엇하랴. 이렇게 교육격차가 벌어졌는데 사회에서 책임을 져주지 않고 아이들 개개인에게 노력이 부족하다며 노~~~오력 하라는 것이 정당한가. 착잡한.. 더보기
정년퇴임 퇴임식 사진 모음 편지 꽃을 너무 많이 받았다. 정년 퇴임 인사를 오늘 학교 방송조회에서 하였다. 여러분들이 있어서 내가 끝까지 할 수 있었다. 누가 뭐라고 해도 나는 나이기에 자신감을 갖고 얼마나 귀한 존재인지 알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무엇이든 자신이 선택해야 하고 선택한 것에는 끝까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라는 말로 고마움을 전했다. 동료들도 고마웠지만 가장 고마운 것은 우리 아이들이기 때문이다. 몇몇 교실에서는 아이들이 훌쩍였단다. 오셔서 선물을 전해주는 학부모들, 타학교로 전출 간 후배, 졸업한 지 오래된 학부모들이 많이들 오셨다. 오셔서 한결같이 울먹이시고 눈이 빨개지시는데 오히려 내가 달래야 했다. 홀가분하다. 내가 한 말처럼 잘하지는 못했을지 모르지만 최선을 다했다. 그것으로 족.. 더보기
줌 유료화에 따른 교육부 대처 https://www.facebook.com/100000051968248/posts/4479297378748617/?d=n 학교 관련 종사자도 이렇게 생각한다. ㅡㅡㅡㅡㅡㅡ #2021년_5월_교육유감 1. ZOOM 유료화 전환 예정 그동안 교육기관에 무료로 계정을 제공했던 ZOOM이 유료화로 전환합니다. 이미 1년 반동안 줌에 길들여진 학교현장은 난감합니다. 줌이 자선단체도 아닌데, 그만하면 사회적 소명을 다 했다고 봅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이제 줌을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다른 대안을 찾고 있습니다. 저도 줌 유료를 사용하고 있는데 한달에 17,000원 정도 되는 비용을 씁니다. 학교 수업이면 그 정도 개인계정으로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어느 학교에서도 이 월납이나 연납결제를 공적으로 이용하기.. 더보기
과학 실무사의 역할 과학실무사제도가 생긴 것은 중등교사들 발령 적체가 되면서 임시로 해소하기 위해 과학보조교사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명칭도 여러가지로 바뀌었다. 실무원, 회계직 공무원, 과학실무원, 과학실무사까지 이름이 달라지면서 근무 환경이나 임금도 달라졌다. 여기에는 교육공무직 노동조합이 만들어진 뒤에 그들의 권리를 보장 강화하고 있고, 60세가 정년이다. 초등에서는 과학실을 관리하고 실험을 도와주는 일이 주 업무이다. 2021년 최근에는 과학실무사가 없는 학교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정확하게 12년 전에는 18학급 이하 학교에는 과학실무원이 없었다. 보건교사도 없었다. 교무 보조원이라 해서 한 사람이 학교 전반 일을 다 맡아서 해왔다. 지금도 학교 도서관에 사서가 없는 학교가 대부분이다. 초중등 학교를 기준으로 볼.. 더보기
마지막 스승의 날. 교직에서 마지막 스승의 날이다. 졸업시킨 아이들이 편지와 꽃바구니를 들고 왔다. 나를 몹시 괴롭히던 아이가 인사하러 왔다. 지인들이 꽃바구니와 선물을 보내주었다. 감사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