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생각해봅시다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명교사의 죽음 ㅡ곽은주 ”젊은 무명 교사의 죽음에 대하여“ 곽은주(따돌림사회연구모임) 고인을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은 폭력적인 교실이다. 혹자들은 서이초 사건의 원인은 악성 민원을 넣는 학부모의 갑질이므로 교장이나 교감에게 민원을 일원화시키면 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아동학대로 신고당할까봐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지도할 수 없기 때문이라며 아동학대법의 개정을 요구한다. 그래서 악성 민원과 아동학대 신고로 무력화된 교사의 생존권과 인권을 지켜달라고 한다. 물론 맞는 말이다. 하지만 두 가지가 해결된다고 해서 과연 교사의 고통이 사라질까? 무엇이 고인을 죽음으로 내몰았을까? 곰곰이 더듬어보면 아동학대로 신고당할까 두렵거나, 학부모 갑질 때문만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고인처럼 아이들을 사랑하고 잘 가르치고 싶었던 교사는 적극적으로 교장,.. 더보기 서이초 교사죽음 진실규명 책임자처벌 5차 집회 국회 앞. 강민정 위원 혼자 참석을 알렸다. 올라가고 내려오는데 버스가 생각보다 덜 막혔다. 10시 10분 출발 7시 30 분 도착했다.https://m.khan.co.kr/national/education/article/202308191535001?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utm_campaign=sharing “딸이 커서 교사 되겠단 말에 가슴 철렁”…국회 앞에 모인 교사들 5주연속 추모집회지난달 18일 서울 서초구에서 초등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이후 ‘교권 추락’의 본질적 해결을...m.khan.co.krhttps://m.youtube.com/watch?v=qrpdsbZKuqQ&feature=sharec 더보기 서이초 교사 죽음,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하고, 교원보호를 위해 제도 마련하라 https://www.yna.co.kr/view/AKR20230812033500004 비 와도 대규모 교사 집회는 그대로…6개 교원단체도 동참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정진 기자 = 토요일인 12일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교육권 보장을 요구하는 전국 교사들의 대규모 집회가 서울 도심에서 ... www.yna.co.kr https://imnews.imbc.com/news/2023/society/article/6513665_36126.html 빗속에도 대규모 교사 집회‥6개 교원단체 동참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교육권 보장을 요구하는 전국 교사들의 대규모 집회가 서울 도심에서 열렸습니다. 교사노동조합연맹 등 6개 교원단체는 오늘 서울 종로에서 집회를 열고, '안... imnews.imbc.co.. 더보기 새만금 갯벌 위에서 생존게임 중 https://v.daum.net/v/20230803131940942 [단독] ‘생존 게임’ 된 잼버리… 유럽 참가국, 우리 정부에 항의 서한…학부모 항의 빗발쳐지난 2일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개영식 때 스카우트 대원 100여명이 어지럼을 호소하며 쓰러지는 등 폭염 속 참가자들의 안전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v.daum.net미친 짓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김남희님 페북 펌 전북 부안 새만금 매립지에서 열리고 있는 잼버리대회는 폭염과 벌레 창궐, 인프라 부족, 위생 불량으로 큰 위기 상황에 놓였다, 역대 최악의 잼버리로 꼽히는 일본 잼버리도 역시 갯벌 매립지 위에서 폭염과 습기, 부족한 인프라로 비난을 받았다. 같은 상황에 놓였는데도 반면.. 더보기 강남에 있는 서이초 젊은 교사의 죽음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721508348?OutUrl=daum “17일 오후 조퇴…사정 있었을 것” 동료가 전한 故 서이초 교사 ‘극한 환경’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A씨(23)가 교내에서 숨진 채 발견돼 파장이 커지는 가운데, 고인이 학부모들의 민원과 폭언에 무방비로 당했을 뿐만 아니라 교실 환경도 좋지 않았다는 www.segye.com http://www.kmu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052 서이초 교사들 부모갑질피해 경악 "그렇게 당당하면 신상밝혀라" - 한국미디어뉴스통신 대한민국 교권이 추락을 넘어 바닥을 기어다닐 정도로 최근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폭력 폭행 폭언은 기본, 도를 넘는.. 더보기 조례안을 이토록 엉터리로 만들다니. https://naver.me/F3oZQ3xb "키 작은 게 질병인가, 세금 낭비... 성장판 검사 지원조례 부결하라"김영삼 시의원 관련 조례 대표발의... 시민단체 "획일적 지원 대신 건강 지원 조례로 바꿔야" ▲ 대전복지공감, 대전참교육학부모회,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전교조대전지부, 평등교육실현을위n.news.naver.com 더보기 학교 밖 배움터 2 찍은 사진이 300장이 넘어 갔다. 중복된 사진도 여러장이다. 가장 고마운 것은 이재황 도예가가 철화분청사기 명장 1호가 되었는데 그 장인이 손수 물레 지도를 아이들에게 해주었다는 점이다. 십여년 인연으로 부탁을 하였더니 흔쾌히 해주신다고 해서 어깨가 으쓱해졌다. 부부 도예가가 터를 잘 잡았구나 싶다. 숲체험 활동을 오후 시간에 잡아서 날이 더워 아이들이 힘들어 했다. 사탕과 초콜릿을 준비하지 못해서 지친 아이들에게 줄 게 없었는데 회 대표님과 부대표님이 열심으로 쭈쭈바와 사탕을 사가지고 오셔서 아이들이 기사회생을 하였다. 아이들이 30명이나 되어 각별하게 개인으로 관심을 둘 수 없었던 것이 가장 되짚어 보게 한다. 지쳐서 저녁 먹고 쉬다가 오늘이 지나면 또 일이 미뤄질 것 같아서 그 많은 사진을 드롭박.. 더보기 사서교사 50% 확보하라. 사서교사가 모든 학교에 있는 줄 안다. 특히 초등학교에 보낼 학부모들은. 이제 겨우 우리나라는 학교도서관을 학교마다 마련하였고 특수학교는 사서교사가 거의 없다. 13.5%가 실제 가서교사 수이다. 그나마 대부분은 무기계약직이다. 10개 학교 중 8개 학교가 사서교사 없이 학부모 봉사라는 이름으로 대출 반납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격차가 심화되고 있고 질높은 독서교육을 제공 받지 못하는 차별 속에 우리 아이들이 있다. 무능하고 무책임한 정권이다. 일년에 303명이 있어야 그나마 2030년에 사서 확보율 50%가 되는데 작년에 0명, 올해도 감감소식이다. 우리 아이들에게 평등한 독서교육권을 확보하여 제공할 의무가 있다. 소리높이 외쳤다. 사서교사 50% 정원 학보하라!!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