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포회, MB정권서 승승장구...이상득.최시중 포진
2008년 이미 논란 겪어...민주당 "권력형 국기문란, 영포 게이트"
'영포회'가 다시 언론과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을 지휘한 이인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2급)이 경북 포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해 영포회 회원이란 관측이 나오면서다.
특히 이인규 지원관이 평소 활동내용을 직속 상관인 국무총리실장이 아니라 청와대에 직보해 온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게다가 이 지원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아니라 이영호 대통령고용노사비서관에게 보고를 해왔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노동계 출신인 이영호 비서관도 포항 출신으로, 2007년 대선 때 역시 포항 출신인 박영준 총리실 국무차장이 주도하던 '선진연대'에서 활동하다 정권 출범과 함께 대통령비서관으로 발탁됐다.
영포회, 이상득. 최시중 등 정권 실세 포진...MB 정권에서 승승장구
영포회는 1980년 경북 영일군과 포항(영일과 포항은 1995년 포항시로 통폐합) 출신 중앙부처(산하기관 포함) 5급 이상 공무원들의 친목 모임으로 출발했다. 그뒤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이 고문으로 참여했다. 법조게, 재계 등 각 분야에 포진해 있는 지역 출신 인사들도 합류했다. 이명박 정권 출범 후에는 회원이 100여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과 대통령의 멘토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포함돼 있는 영포회는 현 정부 들어 승승장구 했다. 영포회는 "MB정권의 성골"이란 말도 회자됐고, 관가에선 이들을 5.6공때 대구 경북고 출신이 중심이 됐던 'TK(대구.경북) 인맥'과 구분해 '신PK(포항.경북)인맥'으로 부르기도 한다.
권종락 전 외교부 1차관, 정장식 전 중앙공무원교육원장, 김석기 전 서울경찰청장 등 고위직을 다수 배출했다. 또 이명박 정권 인수위에는 포항 출신 부처 공무원 20여명이 대거 파견됐었는데 이들 중 영포회원이 적지 않았다. 일부는 청와대 비서관으로 발탁되기도 했다.
포항시장을 지낸 정장식 전 중앙공무원교육원장은 2006년 경북도지사 후보로 출마했다가 떨어졌는데, 이명박 정부 출범한 후인 2008년 3월 차관급인 중앙공무원교육원장이 됐다. 그의 차관급 기용은 공직에서 물러나 정치에 몸담은 후 다시 공직에 복귀하는 매우 이례적인 사례로 꼽혔다.
또 영포회원인 조재정 노동부 기획조정실장(포항고.행시 28회)이 대통령실 사회정책수석실로 파견갔다가 복귀하면서 행시 27회를 제치고 지금 자리를 꿰차는 등 포항 출신들이 승승장구한 사례가 적지 않다.
정권 출범 원년인 2008년 송년의 밤 발언으로 논란 겪어
영포회는 정권 초기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명박 정권 출범 원년인 2008년 11월 26일 '영포회 송년의 밤' 행사 때 참석자들의 발언이 논란이 됐다.
박승호 당시 포항시장은 "이렇게 물 좋을 때 고향 발전을 못 시키면 죄인이 된다"고 했고, 최영만 당시 포항시의회 의장은 "어떻게 하는지 몰라도 예산이 쭉쭉 내려온다"고 말했다. 포항에서 시의원과 도의원을 하다 경북 영양-영덕-포항-울진에서 공천을 받아 당선된 강석호 한나라당 의원은 "속된 말로 동해안에서 노났다. 우리 지역구에도 콩고물이 떨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날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건배사로 '이대로'를 선창했고, 다른 사람들은 '나가자'로 화답했다. '이대로'는 '이명박을 대통령으로'라는 뜻으로 2007년 대선 캠프에서 쓰던 구호였다.
민주당은 "총리실 민간인 불법 사찰을 주도적으로 진행한 주체가 공조직도 아닌 소위 '영포회'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친위 사조직이었다는 점은 충격"이라면서 이번 사건을 "권력형 국기문란 영포게이트"로 규정했다.
민주당은 "지난 독재정권하에서 온갖 정횡을 일으켰던 '하나회'처럼 권력 주변에서 권력을 등에 업고 호가호위를 일삼은 사람들이 누구인지 밝혀야 한다"고 압박하면서 국정조사, 특검, 청문회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웅재 기자 jmy94@vop.co.kr>
특히 이인규 지원관이 평소 활동내용을 직속 상관인 국무총리실장이 아니라 청와대에 직보해 온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게다가 이 지원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아니라 이영호 대통령고용노사비서관에게 보고를 해왔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노동계 출신인 이영호 비서관도 포항 출신으로, 2007년 대선 때 역시 포항 출신인 박영준 총리실 국무차장이 주도하던 '선진연대'에서 활동하다 정권 출범과 함께 대통령비서관으로 발탁됐다.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한나라당 의원은 영포회 고문으로 참여했었다. 경북 영일과 포항출신 중앙부처 5급 이상 공무원 친목모임으로 출발한 영포회는 이명박 정권 출범 후 승승장구 했다.ⓒ 민중의소리 자료사진
영포회, 이상득. 최시중 등 정권 실세 포진...MB 정권에서 승승장구
영포회는 1980년 경북 영일군과 포항(영일과 포항은 1995년 포항시로 통폐합) 출신 중앙부처(산하기관 포함) 5급 이상 공무원들의 친목 모임으로 출발했다. 그뒤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이 고문으로 참여했다. 법조게, 재계 등 각 분야에 포진해 있는 지역 출신 인사들도 합류했다. 이명박 정권 출범 후에는 회원이 100여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과 대통령의 멘토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포함돼 있는 영포회는 현 정부 들어 승승장구 했다. 영포회는 "MB정권의 성골"이란 말도 회자됐고, 관가에선 이들을 5.6공때 대구 경북고 출신이 중심이 됐던 'TK(대구.경북) 인맥'과 구분해 '신PK(포항.경북)인맥'으로 부르기도 한다.
권종락 전 외교부 1차관, 정장식 전 중앙공무원교육원장, 김석기 전 서울경찰청장 등 고위직을 다수 배출했다. 또 이명박 정권 인수위에는 포항 출신 부처 공무원 20여명이 대거 파견됐었는데 이들 중 영포회원이 적지 않았다. 일부는 청와대 비서관으로 발탁되기도 했다.
포항시장을 지낸 정장식 전 중앙공무원교육원장은 2006년 경북도지사 후보로 출마했다가 떨어졌는데, 이명박 정부 출범한 후인 2008년 3월 차관급인 중앙공무원교육원장이 됐다. 그의 차관급 기용은 공직에서 물러나 정치에 몸담은 후 다시 공직에 복귀하는 매우 이례적인 사례로 꼽혔다.
또 영포회원인 조재정 노동부 기획조정실장(포항고.행시 28회)이 대통령실 사회정책수석실로 파견갔다가 복귀하면서 행시 27회를 제치고 지금 자리를 꿰차는 등 포항 출신들이 승승장구한 사례가 적지 않다.
정권 출범 원년인 2008년 송년의 밤 발언으로 논란 겪어
영포회는 정권 초기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명박 정권 출범 원년인 2008년 11월 26일 '영포회 송년의 밤' 행사 때 참석자들의 발언이 논란이 됐다.
박승호 당시 포항시장은 "이렇게 물 좋을 때 고향 발전을 못 시키면 죄인이 된다"고 했고, 최영만 당시 포항시의회 의장은 "어떻게 하는지 몰라도 예산이 쭉쭉 내려온다"고 말했다. 포항에서 시의원과 도의원을 하다 경북 영양-영덕-포항-울진에서 공천을 받아 당선된 강석호 한나라당 의원은 "속된 말로 동해안에서 노났다. 우리 지역구에도 콩고물이 떨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날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건배사로 '이대로'를 선창했고, 다른 사람들은 '나가자'로 화답했다. '이대로'는 '이명박을 대통령으로'라는 뜻으로 2007년 대선 캠프에서 쓰던 구호였다.
민주당은 "총리실 민간인 불법 사찰을 주도적으로 진행한 주체가 공조직도 아닌 소위 '영포회'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친위 사조직이었다는 점은 충격"이라면서 이번 사건을 "권력형 국기문란 영포게이트"로 규정했다.
민주당은 "지난 독재정권하에서 온갖 정횡을 일으켰던 '하나회'처럼 권력 주변에서 권력을 등에 업고 호가호위를 일삼은 사람들이 누구인지 밝혀야 한다"고 압박하면서 국정조사, 특검, 청문회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웅재 기자 jmy94@vop.co.kr>
'촛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보된 장마에도 4대강 현장은 물난리, 왜? (0) | 2010.07.18 |
---|---|
"천안함 안보리 성명, 한국외교 총체적 실패 드러내" (0) | 2010.07.14 |
배낭여행 미끼로 대학생 끌어 모아 4대강 홍보 (0) | 2010.07.05 |
"MB정부 아직도 독선과 오만 못 버리나 (0) | 2010.07.04 |
이명박-오바마, 전작권-한미FTA '거래'했나? (0) | 2010.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