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자를 위하여

3기 노동자학교 2강 지역운동사(김예준)

교안)

87년 이후 노동자 투쟁에서 현재까지 (지역노동운동사중심으로)



1.  민주노총 지역본부 건설까지의 경로


□87년 이전까지 지역 노동조합 운동은(충남 충북을 포함해도) 그 노동조합 투쟁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미약

­88년 초기부터 제조업에 비하여 연구단지 등 공공부문 사업장이 다수

­연구단지 출연연구기관, 조폐공사 등 공공기관의 본사가 지역에 소재함으로 상대적으로 공공부문 노조의 비율이 많으며 지역본부 결성과정에서 중심축을 형성하고 주요투쟁을 담당

­96년 한라공조, 만도기계 이전으로 제조업노조의 연대와 투쟁이 잠시 활성화 되는 듯 했으나 만도기계가 분할, 매각 이전함으로 제조업 중심 사업장의 부재가 상당기간 지속됨


□88.10 대전지역사무전문직노조협의회(약칭:대노협)결성

­지역 사무전문직 노조 조직으로 전국에서 최초로 결성

­출범당시 24개 노조 6000여명 참가

­노총산하 조직이 다수 참여하여 출범함으로써 사업목표와 방향성 없이 위원장단의 친목단체로 전락하였으며 연구단지 노조가 참여치 않음으로써 90년 2월 사실상 해산


□89. 12. 대전지역노동조합협의회 준비위(약칭: 지노협) 결성

­전노협의 지역조직 건설을 위해 준비위 결성

­출범당시 15개노조(금속3, 섬유1, 택시 10, 병원 1, 연합 1) 1,800명 참여

­사전준비가 미흡한 상태에서 전국적 틀에 따라 결성을 추진함으로써 전국적인 전노협 사업장에 대한 탄압으로 지도부가 해고, 구속, 수배되자 지도구심을 잃었고 이후 택시노동자와 제조업노동자간의 결합에도 실패함으로써 출범이 좌절됨.


□91. 1  대전.충남업종노동조합협의회 결성

­전국업종회의에 속한 지역 사업장을 중심으로 결성

­출범당시 19개노조 6,200명 참가

­이후 업종노협은 제조업과 공동사업, 연대활동 전개하며 민주노총지역본부 추진위원회 결성을 주도

­92. 10 대전.충남 ILO공대위 구성

­92. 11 ‘92년 전국노동자대회 공동참가

­93. 12  송년단결의 밤 공동개최

­94. 5  노동절행사 공동개최

­94. 9  천안.아산지역노조 대표자회의 구성  


□94. 12   민주노총 대전충남지역추진위원회 결성

­민주노총 지역조직 건설을 목표로 업종노협 산하노조와 제조업노조의 일부가 결합하여 출범

­천안아산지역, 서산.태안, 홍성.예산지역 노조들과 논의를 통해 대전충남지역을 포괄하는 지역본부 결성을 추동

­95. 5    천안. 아산지역과 노동절 공동행사 개최(천안역)

­96.  2   민주노총 지역본부 결성을 위한 충남권노조 간담회(홍성)

­96.  3   서산. 태안지역 노조 대표자회의 구성

­96.  4   민주노총 대전충남본부 산하 ‘충남지역협의회’ 구성

 

□96.  5   민주노총 대전충남지역본부 결성

­노동절(5.1), 대의원대회를 개최하여 대의원 116명중 107명 참가하여 대전충남을 포괄하는 지역본부 결성하고 대전역 광장에서 집회를 통해 대중적 출범 선언

­이후 산하조직으로 각 지구별 협의회를 조직(대전시협, 충남동부협의회, 충남서부협의회)

­총 54개 노조 13,000여명 참가(업종 39개노조 10,000여명/ 제조업 15개노조 3,000여명)

­98.  2 민주노총 대전충남지역본부 제 2기 출범

­99. 11 민주노총 대전. 충남분리를 위한 임시대의원대회(분리안건 부결)

­00.  2 민주노총 대전충남본부 제3기 출범(조합원 직선)

­01. 12. 민주노총 대전본부대의원 대회(대전, 충남본부 각각 분리 결의)

              

□02. 01 민주노총 대전본부 1기 출범

       02 민주노총 충남본부 1기 출범


□04. 11 민주노총 대전 본부 임원선거 파행

­04. 12 단독후보군 입후보 하였으나 선거기간 중 출마후보군 사퇴 및 선거중단

­05.  3  제 2기 대전본부 임원 선출 → 05. 04월 선관위 무효선언

­05. 12  경선으로 임원선거 과반수 득표자 없음

­06.  7  다 득표후보군에 대한 결선투표 결과 과반수 미달로 당선자 없음


□08. 10  대전본부 제 2기 출범



2.  투쟁을 통해 본 지역 노동조합 운동


□초기 지역 노동조합 투쟁

­88년 대전지역택시 16개 노조를 중심으로  90여일간의 파업투쟁(중도택시 총기만행 사건, 대성운수 구사대 똥물 만행사건 발생)

­88년 12월  연구단지 정부출연기관노조의 연대파업 투쟁

­92년 10월  전자통신노조 직장폐쇄 투쟁

­연구단지 과학기술계 출연기관노조들은 연대투쟁의 성과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94년  4월 과학기술노조를 건설하고 95년 통폐합, 민영화에 맞서 총파업 투쟁 전개


□전국적 정치투쟁에 대한 지역차원의 투쟁

­94년  6월  전기협 지원 투쟁(철도. 지하철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공대위)

­95년, 98년 한국통신노조 지원 투쟁

­96~ 97년 노동법 개정투쟁

­98년 2월  정리해고반대 투쟁

­98~99년   조폐공사노조 투쟁

­2000년     롯데호텔노조 투쟁

­2002년     발전노조 투쟁


□중소사업장 투쟁에 대한 완강한 지원투쟁

­97년 동일계전 파업투쟁

­97~98년 대광레미콘 투쟁

­98년  제일신협 투쟁

­99~00년  둔산자동차학원 투쟁

­99년 유성CC, 00년 대둔산CC투쟁

­00년 서산항공, 일진아산, 세원테크 등 충남지역투쟁

­01년~ 04년 리베라호텔 투쟁



3.  지난 투쟁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것인가?


□단사 투쟁에 대해 산별노조(연맹)와 함께 총체적인 공동대응

­유성CC, 대둔산CC, 대광레미콘, 둔산자동차 투쟁


□투쟁의 소중한 경험을 발전, 계승시키는 투쟁

­둔산자동차, 일진투쟁(장기화에 따른 생계대책) → 리베라투쟁

­전자통신노조 직장폐쇄  →  조폐공사 직장폐쇄 투쟁


□전국적 투쟁에 따라가는 투쟁이 아니라 노동자 대중의 대의에 복무하는 투쟁,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투쟁

­전기협투쟁, 한국통신투쟁,  97년 독자지역 총파업, 98년 민주노총 정리해고합의에 맞선 독자 집회

­00년 지역연대투쟁실천단 순회투쟁, 롯데호텔 투쟁


※  지난 투쟁의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