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대전본부(본부장 엄연섭)와 야5당은 전교조와 공무원 노동자에 대한 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대전교육청 앞에서 갖고, ‘6ㆍ2지방선거와 교육감선거를 앞둔 정치적 보복행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엄연섭 민주노총 대전본부장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전교조에 대한 탄압은 사법부의 판결이 나오지 않았음에도 해임과 파면을 전개하려는 것”은, “6.2 지방선거에 보수교육감과 여당에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한 정치적 음모”라고 규탄했다.
|
 |
|
이찬현 전교조 대전지부장 |
당사자인 이찬현 전교조 대전지부장은 "법원의 판결도 나가전에 언론에 공포하고 징계를 회부하는 것은 정치적 탄압이 명백하다"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최소한의 법을 지켜야 아이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대한민국이 되지 않겠냐"고 반박했다.
김창근 민주노동당 대전시당위원장은 “일련의 전교조, 공무원노조에 대한 탄압은 무죄 추정의 원칙을 무시하며 정치표현의 자유를 성폭력범과 통일하시 하고 있는 이명박 정권의 몰상식과 일방적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고 강력 비난했다.
이는 얼마 전 유엔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 프랭크 라뤼씨가 17일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출국 기자회견에서 “지난 2년간 한국의 표현의 자유가 위축됐다”고 밝힌 내용을 비추어 보더라도 “대한민국 사회가 야만과 독재의 시대로 회 귀 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고 비난했다.
또 “뿐만 아니라 거액의 후원금을 여당에게 납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지고 있는 교장들과 일부 교사들에 대한 조사나 징계는 이루어 지지 않는 형평성을 보더라도 이명박정권의 뻔뻔함은 결국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에 대한 정치적 탄압이다”고 덧붙였다.
박용준 창조한국당 대전시당위원장은 “천안함 사태를 빌미로 북풍과 공안 분위기를 조성하며 표현을 자유를 위축시키는 것은 지방선거 이후 노골적인 노동탄압을 통한 자본의 이윤창출, 남북긴장과 전쟁공포속에 4대강 사업, 의료민영화, 공기업사유화(물, 전기, 가스, 철도, 발전 등)를 일방적으로 강행하겠다”는 “이명박정권의 본질을 나타내는 것이다”고 규탄했다.
또한 선창규 진보신당 대전시당위원장은 “끊임없이 제기되는 천안함 사태에 대한 의문점을 공안 분위기로 일축하며 정권 재창출을 위한 시도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안보에는 무능하고 인권에는 둔감하면서 마녀사냥식 전교조와 공무원 탄압에는 열을 올리는 MB정부를 심판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오는 6월5일 전국교사노동자 정치탄압 규탄 결의대회에 이어, 6월7일 교사 천막농성을 전개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