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시위를 하기 시작할 때 처음 주장한 것이 바로 30개월 이상의 소를 수입해오지 말라는 거였다. 그것은 너무도 분명하게 광우병에 걸려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SRM 부위에 대한 수입 자체를 막아 달라는 지극히 단순한 요구로서 그 방법은 재협상을 하라는 것이다.
촛불 집회가 60일을 넘어가고 있다. 촛불이 꺼져가고 있다고 여론을 조성하는 언론들과 정부의 노력으로 참여 숫자가 다소 줄어들기는 했지만 주말에는 여지없이 늘 나오던 수 만큼은 유지 되어 왔다. 그럼에도 정의구현사제단이 폭력 경찰의 강제 진압에 대한 항거로 비폭력을 외치면서 일단 평화적인 집회로 정리는 되었다. 뒤 이어 불교 집회와 개신교 집회까지 이어지면서 느껴지는 것은 참여자의 능동성과 창발성이 사라지고 주관 주체에 의한 수동성만 남은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이제 대책회의에서 촛불의 향방을 시민들에게 물어서 결정을 하겠다고 한다면 이런 점에서 우리는 생각을 해보고 결정을 해야 할 것이다.
첫째, 우리가 요구했던 것이 관철이 되었는가? 즉 SRM 부위가 수입되지 않은가?
그에 대한 대답은 아니다. 이미 강제로 장관고시를 밀어부쳤고, 또 관보게재를 해버렸고, 시판을 하고 있다. 물론 지금 시판하고 있는 것은 노무현 정부일 때 수입한 쇠고기다. 유통기한이 두 달 밖에 남지 않은 것이기는 하지만. 따라서 언론에서 수입소고기를 사먹고 없어서 못 판다는 둥 하는 것들만 내보내고 있는 지금 요구를 단순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와대에서 미국으로 재협상을 하러 갔다온 것이 정말 재협상을 하고 온 것인가?
이 부분은 국민을 속이고 재논의 정도만 하고 온 것을 빌미를 포장하여 이미 일사천리로 정부의 욕구대로 처리하고 말았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우리의 선택은 명확하다.
대책위에서도 이런 부분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향후 비폭력으로 싸움을 전개하더라도 민심들의 주장을 담은 성명서를 청와대에 전달하고 이에 대해 답변이 없을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할 때이다.
이러한 것들이 구체적으로 세밀하게 그려지지 않을 때 지리하고 끝없는 싸움으로 접어들면서 대책위 스스로도 동력을 추스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을 머리 맞대고 해야 할 때이다.
'촛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호 6번 주경복, 당신을 기다렸습니다" (0) | 2008.07.18 |
---|---|
[스크랩] 7월 18일 네티즌이 주경복을 만납니다. (0) | 2008.07.16 |
7월 5일 대전 촛불 문화제 (0) | 2008.07.06 |
60만개 식당 국 반찬 원산지까지 표시를 점검할 여력이 있나 (0) | 2008.07.06 |
49차 대전 촛불 집회를 다녀오다 (0) | 2008.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