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생각해봅시다
'사학비리 재단', 학교 재장악 길 트여
연둣빛 초록(초록샘)
2010. 8. 9. 23:52
'사학비리 재단', 학교 재장악 길 트여
노컷뉴스 | 입력 2010.08.09 15:33 | 수정 2010.08.09 16:15
[CBS사회부 구용회 기자]
교육과학기술부 소속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대표적 사학비리의 상징이었던 김문기 씨의 상지대 재단 장악을 사실상 허용하는 결정을 내렸다.
사분위는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상지대 정상화 방안을 심의한 결과 정이사 8명과 임시이사 1명을 선임키로 했다고 밝혔다.
정이사 8명 가운데 4명은 구 재단 측이 추천한 인사, 2명은 현재 학교 구성원들이 추천한 인사, 2명은 관할청인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천한 인사로 선임키로 했다.
이사에 선임된 구 재단측 인사에는 김문기씨의 아들이 포함됐지만, 정이사 후보 가운데 한 명이었던 김문기 전 재단 이사장은 이사 선임에서 제외됐다.
사분위 측은 "학내 구성원 측은 옛 이사에 의해 계승돼 온 건학이념을 존중하고, 옛 이사 측은 상호 대타협을 해 원만한 학사운영에 이바지하기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옛 이사 측을 중심으로 학사 운영을 하라는 권고다.
◈ 상지대 비대위 "불복종 운동 전개"…제2 사학분쟁 우려
이에 대해 상지대 비상대책위(교수협의회,직원노동조합,총학생회,총동문회)는 "교과부가 김문기 비리 구재단의 복귀 음모를 관철시켜 사학비리 복귀 시나리오의 들러리 역할을 했다"고 비판했다.
또 "사학비리 전과자 김문기씨의 학원탈취를 허용한 사분위와 교과부의 반 교육적 행동을 규탄하고 구 재단측의 학원탈취를 저지하기 위해 불복종 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지대 비대위 측은 학사운영 불참은 물론 법적대응을 한다는 입장이어서 상지대는 또다시 제 2의 사학분쟁에 휩싸일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교육계 관계자는 "교과부가 법적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과거의 대표적인 비리재단을 다시 복귀시키는 결정을 한 것은 교육적.정치적으로 '도덕적 요소'를 감안하지 않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goodwill@cbs.co.kr
[관련기사]
● 상지대 비대위 "옛 비리재단 복귀 허용에 울분"
● 홍성태, 사학분쟁 조정위원회는 교육범죄 세탁기관?
● 상지대 비대위 "비리 이사장 복귀 안돼" 철야농성 돌입
교육과학기술부 소속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대표적 사학비리의 상징이었던 김문기 씨의 상지대 재단 장악을 사실상 허용하는 결정을 내렸다.
사분위는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상지대 정상화 방안을 심의한 결과 정이사 8명과 임시이사 1명을 선임키로 했다고 밝혔다.
정이사 8명 가운데 4명은 구 재단 측이 추천한 인사, 2명은 현재 학교 구성원들이 추천한 인사, 2명은 관할청인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천한 인사로 선임키로 했다.
사분위 측은 "학내 구성원 측은 옛 이사에 의해 계승돼 온 건학이념을 존중하고, 옛 이사 측은 상호 대타협을 해 원만한 학사운영에 이바지하기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옛 이사 측을 중심으로 학사 운영을 하라는 권고다.
이에 대해 상지대 비상대책위(교수협의회,직원노동조합,총학생회,총동문회)는 "교과부가 김문기 비리 구재단의 복귀 음모를 관철시켜 사학비리 복귀 시나리오의 들러리 역할을 했다"고 비판했다.
또 "사학비리 전과자 김문기씨의 학원탈취를 허용한 사분위와 교과부의 반 교육적 행동을 규탄하고 구 재단측의 학원탈취를 저지하기 위해 불복종 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지대 비대위 측은 학사운영 불참은 물론 법적대응을 한다는 입장이어서 상지대는 또다시 제 2의 사학분쟁에 휩싸일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교육계 관계자는 "교과부가 법적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과거의 대표적인 비리재단을 다시 복귀시키는 결정을 한 것은 교육적.정치적으로 '도덕적 요소'를 감안하지 않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goodwill@cbs.co.kr
[관련기사]
● 상지대 비대위 "옛 비리재단 복귀 허용에 울분"
● 홍성태, 사학분쟁 조정위원회는 교육범죄 세탁기관?
● 상지대 비대위 "비리 이사장 복귀 안돼" 철야농성 돌입